'홀대모'의 '박달령'님 글입니다...
- - - - - - - - - - - - 0 - - - - - - - - - - - - - - - 0 - - - - - - - - - - - - - -
백두대간의 흡혈귀 『진드기』관찰 보고서
◎ 관찰의 목적
백두대간 길 중 진고개 → 단목령 간의 구간에서 대간꾼들을 괴롭히는 진드기 -- 인체 피부에 달라붙어 피를 빨며 살 속으로 파고들고, 이를 방치할 경우 암놈 진드기는 살 속에 알까지 낳으면서 치명상을 입히기도 한다는 드라큘라에 대하여 이 구간 종주 예정자에게 다소나마 참고가 되도록 하기 위함.
[1] 관찰 기간 : 2002. 5. 29. ∼ 5. 31. (3일간) (초여름 번식 초기 상황임)
[2] 관찰 구간 : 진고개 ∼ 구룡령 ∼ 조침령 ∼ 단목령
[3] 관찰기간 중 기상상태 : 최저기온 8 - 10도, 최고기온 15 - 20도, 대체로 맑은 날씨에 5월 30일은 초속 3 - 4 미터, 31일은 초속 5 - 6 미터 정도의 서풍이 불었음.
[4] 진드기의 생김새
1) 몸통 : 참깨알을 연상, 크기는 참깨알 정도, 또는 그보다 상당히 큰 경우도 있음.
참깨알의 뾰족한 부분을 머리쪽, 둥근 부분을 하반신 쪽으로 생각하면 됨.
2) 다리 : 몸통의 1. 5 ∼ 2 배 정도로 긴편, 양쪽에 4개씩 8개가 달려 있었는데 맨 앞쪽 두 개는 다리가 아닌 더듬이인지의 여부는 비전문가이므로 결론을 내릴 수 없었음.
3) 색상 : 다리와 몸통 상반신 쪽은 진한 초컬리트색, 몸통 하반신 쪽은 오렌지색에 가까운 밝은 색.
4) 날개 : 없음.
5) 기타 참고사항 : 왕승골 갈림길 삼거리를 지나면서 부터는 크기가 참깨알보다 작고, 색상도 상, 하반신 모두 진한 초컬리트색의 진드기도 발견 되고 있었으나, 다른 종류의 진드기인지, 또는 알이나 번데기에서 부화된지 얼마 안되는 유충인지 여부는 비전문가이므로 결론을 내릴 수 없었음.
[5] 이동 속도 및 타 곤충류와 구별되는 특징
1)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시계 초침을 보며 측정 결과 10초에 약 5 ㎝ 정도를 이동하였으며, 이는 다리 길이에 비하여 상당히 느린 속도였음. 앞으로 기온 상승시 이동 속도가 더 기민하여질 것인지 여부는 불분명.
2) 다른 곤충류는 사람의 손이 접근하면 날거나 빠른 속도로 달아나고 있었으나, 진드기는 사람의 손이 접근하여 잡아 떼어낼 때까지 움직이지 않고 있었음.
이 습성도 앞으로 기온 상승과 번식에 의한 개체 수 증가시에 바뀔 것인지 여부는 불분명.
3) 다른 곤충류는 사람 손이 슬며시 스치기만 하여도 으깨져 버리는데 반하여, 진드기는 손가락으로 힘주어 집어도 으깨지지 않고, 양 손 엄지손톱 사이에 넣고 세게 눌러야 으깨질만큼 질기고 단단하였음.
[6] 인체 공격 부위
1) 관찰기간 중에는 무릎 위 10 ㎝ 이하의 하반신 바지가랑이에만 붙었음.
2) 선행주자들의 산행기에는 목, 팔 등 상반신에도 공격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관찰당시의 이러한 공격 습성은 초여름이라고 하는 계절적인 저온의 영향인 것으로 추정됨.
따라서 6월 ∼ 9월 기온상승에 따른 번식으로 개체수 증가시 상반신을 공격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3) 또한 배낭에는 공격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인체의 체취가 직접 풍겨 나오는 옷자락을 감지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됨.
[7] 인체 공격 방법
어떻한 수법으로 인체를 향하여 공격을 하는지는 목격하지 못하였음.
다만, 정지상태가 아닌 빠른 걸음 이동 중에도 인체를 공격 접촉하는 것으로 미루어, 나뭇잎이나 풀섶에 붙어 있다가, 사람이나 동물 접근시 후각으로 체취를 분간하거나, 또는 초음파 같은 것을 발산하여 감지한 다음 가까이 접근시 나뭇잎이나 풀섶에서 뛰어내리는 것이 아닌가 추정되었음.
[8] 피해 및 산행 중 조치사항.
1) 피해는 없었음.
2) 우연히 바지가 베이지색으로 밝은 색 계통이었고, 상반신은 공격 당하지 않고 있었으므로 200미터 ∼ 300미터 진행하다 바지 가랑이를 내려다보고 육안으로 보이는 진드기를 계속 떼어내면서 운행 함.
(복 많은 과부는 엉덩방아를 찧어도 요강뚜껑 꼭지 위에 올라앉고, 밤길에 엎으러져도 가지밭이더라는 옛 속담은 우연히 밝은 단색 바지를 착용한 덕을 보게된 이러한 경우를 두고 한 말이 아닐까 ?)
3) 휴식 및 식사 등은 풀이 자라지 않고 있는 공터, 바위, 헬기장, 멧돼지가 갈아엎어 초토화시킨 황무지 등등의 장소를 택하여 해결 함으로써, 진드기 잠복 우려가 있는 풀밭 주변을 철저하게 피하였음
[9] 구간별 일자별 출현 상황
1) 5월 29일 진고개 ∼ 구룡령 구간에서는 동대산(1433. 5)부터 시간당 평균 2마리 정도 출현 공격하여 왔음.
2) 5월 30일 구룡령 ∼ 조침령 구간 중 구룡령 ∼ 왕승골 갈림길 3거리까지는 시간당 평균 10마리 정도로 극성을 부리다 그 이후부터는 시간당 평균 1 ∼ 2마리 출현.
3) 5월 31일 조침령 ∼ 단목령 구간에서는 북암령까지 시간당 평균 1마리 정도 출현하다가 북암령이 가까워지면서 출현하지 않았고, 북암령부터 단목령까지는 발견되지 않았음.
이상의 출현 장소와 빈도는 관찰 당시 즉 초여름 번식 초기의 상황이므로 앞으로 기온 상승으로 인한 번식으로 개체 수 증가시 출현지역과 빈도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는 예측할 수 없었음.
- [이상은 객관적 관찰 내용이고, 다음 이하는 필자의 주관적 의견 기술임] -
[10] 피해예방을 위한 대책
1) 날씨가 덥더라도 반팔 상의나, 반바지 하의는 착용 않는 것이 좋음.
2) 상하의 모두 어두운 색이나 알록달록한 체크무늬 등을 피하고, 밝은 단색을 착용하여 100 ∼ 200 미터 정도 진행 하였을 때마다 위아래 옷자락과 팔 등을 살핌으로써, 육안으로 쉽게 관찰되어 신속하게 제거토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
그러하지 않으면 비록 이동속도는 느리지만 발견하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할 경우 목,
팔소매 끝, 바지가랑이 끝 등 개방부위를 통하여 옷 속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음.
3) 상반신 공격이 확인되는 경우 상의 단추를 목까지 잠그고, 수건으로 목을 감아 목 개방부분을 통하여 옷 속의 가슴이나 등쪽으로의 이동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고 봄.
4) 실전백두대간에는 모자도 쓰고 장갑도 끼라고 되어 있는바, 장갑을 낀다면 어두운 색의 등산전용이 아닌 흰색의 싸구려 막장갑이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여부의 육안식별이 쉬울 것으로 생각됨.
5) 휴식 및 식사는 위 [8]항 후단 3)항의 기술을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됨.
6) 얼굴부위가 공격 당하는지 여부는 기록에서 읽은 바 없음.
다만 이 문제가 염려될 경우 모기장천으로 조그마한 자루를 만들어 지참하고 가다가 실제로 얼굴도 공격을 당하는 상황이 전개될 때에는 꺼내서 모자 위로 덮어쓰고 진행하는 방법이 어떠할까 생각됨.
[11] 준비 하였다가 포기한 대비책
살충제 모기약(에프킬라)을 지참하고 가다가 휴식시마다 위아래 옷에 뿌려볼까 하고 약국에서 구입까지 하였지만 부피가 커서 가지고 가지 않았다가, 잠시 후회 되기도 하였으나, 곧 가져가지 않기를 잘하였다는 자각이 들게 되었음.
이유는, 오래전 화분의 화초에 진딧물이 끼어 있기에 무심코 모기약을 뿌렸던바, 진딧물은 제거되었으나, 함유된 석유성분에 의하여 화초까지 같이 말라죽었던 생각이 나서, 만약 산에서 이 약품을 사용시 초목 생태계에 막대한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어서이므로 이러한 방법은 절대로 사용하여서는 안될 것으로 생각됨.
- 이상입니다 -
- - - - - - - - - - - - 0 - - - - - - - - - - - - - - - 0 - - - - - - - - - - - - - -
백두대간의 흡혈귀 『진드기』관찰 보고서
◎ 관찰의 목적
백두대간 길 중 진고개 → 단목령 간의 구간에서 대간꾼들을 괴롭히는 진드기 -- 인체 피부에 달라붙어 피를 빨며 살 속으로 파고들고, 이를 방치할 경우 암놈 진드기는 살 속에 알까지 낳으면서 치명상을 입히기도 한다는 드라큘라에 대하여 이 구간 종주 예정자에게 다소나마 참고가 되도록 하기 위함.
[1] 관찰 기간 : 2002. 5. 29. ∼ 5. 31. (3일간) (초여름 번식 초기 상황임)
[2] 관찰 구간 : 진고개 ∼ 구룡령 ∼ 조침령 ∼ 단목령
[3] 관찰기간 중 기상상태 : 최저기온 8 - 10도, 최고기온 15 - 20도, 대체로 맑은 날씨에 5월 30일은 초속 3 - 4 미터, 31일은 초속 5 - 6 미터 정도의 서풍이 불었음.
[4] 진드기의 생김새
1) 몸통 : 참깨알을 연상, 크기는 참깨알 정도, 또는 그보다 상당히 큰 경우도 있음.
참깨알의 뾰족한 부분을 머리쪽, 둥근 부분을 하반신 쪽으로 생각하면 됨.
2) 다리 : 몸통의 1. 5 ∼ 2 배 정도로 긴편, 양쪽에 4개씩 8개가 달려 있었는데 맨 앞쪽 두 개는 다리가 아닌 더듬이인지의 여부는 비전문가이므로 결론을 내릴 수 없었음.
3) 색상 : 다리와 몸통 상반신 쪽은 진한 초컬리트색, 몸통 하반신 쪽은 오렌지색에 가까운 밝은 색.
4) 날개 : 없음.
5) 기타 참고사항 : 왕승골 갈림길 삼거리를 지나면서 부터는 크기가 참깨알보다 작고, 색상도 상, 하반신 모두 진한 초컬리트색의 진드기도 발견 되고 있었으나, 다른 종류의 진드기인지, 또는 알이나 번데기에서 부화된지 얼마 안되는 유충인지 여부는 비전문가이므로 결론을 내릴 수 없었음.
[5] 이동 속도 및 타 곤충류와 구별되는 특징
1)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시계 초침을 보며 측정 결과 10초에 약 5 ㎝ 정도를 이동하였으며, 이는 다리 길이에 비하여 상당히 느린 속도였음. 앞으로 기온 상승시 이동 속도가 더 기민하여질 것인지 여부는 불분명.
2) 다른 곤충류는 사람의 손이 접근하면 날거나 빠른 속도로 달아나고 있었으나, 진드기는 사람의 손이 접근하여 잡아 떼어낼 때까지 움직이지 않고 있었음.
이 습성도 앞으로 기온 상승과 번식에 의한 개체 수 증가시에 바뀔 것인지 여부는 불분명.
3) 다른 곤충류는 사람 손이 슬며시 스치기만 하여도 으깨져 버리는데 반하여, 진드기는 손가락으로 힘주어 집어도 으깨지지 않고, 양 손 엄지손톱 사이에 넣고 세게 눌러야 으깨질만큼 질기고 단단하였음.
[6] 인체 공격 부위
1) 관찰기간 중에는 무릎 위 10 ㎝ 이하의 하반신 바지가랑이에만 붙었음.
2) 선행주자들의 산행기에는 목, 팔 등 상반신에도 공격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관찰당시의 이러한 공격 습성은 초여름이라고 하는 계절적인 저온의 영향인 것으로 추정됨.
따라서 6월 ∼ 9월 기온상승에 따른 번식으로 개체수 증가시 상반신을 공격받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3) 또한 배낭에는 공격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인체의 체취가 직접 풍겨 나오는 옷자락을 감지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됨.
[7] 인체 공격 방법
어떻한 수법으로 인체를 향하여 공격을 하는지는 목격하지 못하였음.
다만, 정지상태가 아닌 빠른 걸음 이동 중에도 인체를 공격 접촉하는 것으로 미루어, 나뭇잎이나 풀섶에 붙어 있다가, 사람이나 동물 접근시 후각으로 체취를 분간하거나, 또는 초음파 같은 것을 발산하여 감지한 다음 가까이 접근시 나뭇잎이나 풀섶에서 뛰어내리는 것이 아닌가 추정되었음.
[8] 피해 및 산행 중 조치사항.
1) 피해는 없었음.
2) 우연히 바지가 베이지색으로 밝은 색 계통이었고, 상반신은 공격 당하지 않고 있었으므로 200미터 ∼ 300미터 진행하다 바지 가랑이를 내려다보고 육안으로 보이는 진드기를 계속 떼어내면서 운행 함.
(복 많은 과부는 엉덩방아를 찧어도 요강뚜껑 꼭지 위에 올라앉고, 밤길에 엎으러져도 가지밭이더라는 옛 속담은 우연히 밝은 단색 바지를 착용한 덕을 보게된 이러한 경우를 두고 한 말이 아닐까 ?)
3) 휴식 및 식사 등은 풀이 자라지 않고 있는 공터, 바위, 헬기장, 멧돼지가 갈아엎어 초토화시킨 황무지 등등의 장소를 택하여 해결 함으로써, 진드기 잠복 우려가 있는 풀밭 주변을 철저하게 피하였음
[9] 구간별 일자별 출현 상황
1) 5월 29일 진고개 ∼ 구룡령 구간에서는 동대산(1433. 5)부터 시간당 평균 2마리 정도 출현 공격하여 왔음.
2) 5월 30일 구룡령 ∼ 조침령 구간 중 구룡령 ∼ 왕승골 갈림길 3거리까지는 시간당 평균 10마리 정도로 극성을 부리다 그 이후부터는 시간당 평균 1 ∼ 2마리 출현.
3) 5월 31일 조침령 ∼ 단목령 구간에서는 북암령까지 시간당 평균 1마리 정도 출현하다가 북암령이 가까워지면서 출현하지 않았고, 북암령부터 단목령까지는 발견되지 않았음.
이상의 출현 장소와 빈도는 관찰 당시 즉 초여름 번식 초기의 상황이므로 앞으로 기온 상승으로 인한 번식으로 개체 수 증가시 출현지역과 빈도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는 예측할 수 없었음.
- [이상은 객관적 관찰 내용이고, 다음 이하는 필자의 주관적 의견 기술임] -
[10] 피해예방을 위한 대책
1) 날씨가 덥더라도 반팔 상의나, 반바지 하의는 착용 않는 것이 좋음.
2) 상하의 모두 어두운 색이나 알록달록한 체크무늬 등을 피하고, 밝은 단색을 착용하여 100 ∼ 200 미터 정도 진행 하였을 때마다 위아래 옷자락과 팔 등을 살핌으로써, 육안으로 쉽게 관찰되어 신속하게 제거토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
그러하지 않으면 비록 이동속도는 느리지만 발견하지 못하고 장시간 방치할 경우 목,
팔소매 끝, 바지가랑이 끝 등 개방부위를 통하여 옷 속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음.
3) 상반신 공격이 확인되는 경우 상의 단추를 목까지 잠그고, 수건으로 목을 감아 목 개방부분을 통하여 옷 속의 가슴이나 등쪽으로의 이동을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고 봄.
4) 실전백두대간에는 모자도 쓰고 장갑도 끼라고 되어 있는바, 장갑을 낀다면 어두운 색의 등산전용이 아닌 흰색의 싸구려 막장갑이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여부의 육안식별이 쉬울 것으로 생각됨.
5) 휴식 및 식사는 위 [8]항 후단 3)항의 기술을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됨.
6) 얼굴부위가 공격 당하는지 여부는 기록에서 읽은 바 없음.
다만 이 문제가 염려될 경우 모기장천으로 조그마한 자루를 만들어 지참하고 가다가 실제로 얼굴도 공격을 당하는 상황이 전개될 때에는 꺼내서 모자 위로 덮어쓰고 진행하는 방법이 어떠할까 생각됨.
[11] 준비 하였다가 포기한 대비책
살충제 모기약(에프킬라)을 지참하고 가다가 휴식시마다 위아래 옷에 뿌려볼까 하고 약국에서 구입까지 하였지만 부피가 커서 가지고 가지 않았다가, 잠시 후회 되기도 하였으나, 곧 가져가지 않기를 잘하였다는 자각이 들게 되었음.
이유는, 오래전 화분의 화초에 진딧물이 끼어 있기에 무심코 모기약을 뿌렸던바, 진딧물은 제거되었으나, 함유된 석유성분에 의하여 화초까지 같이 말라죽었던 생각이 나서, 만약 산에서 이 약품을 사용시 초목 생태계에 막대한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어서이므로 이러한 방법은 절대로 사용하여서는 안될 것으로 생각됨.
- 이상입니다 -
'[백두대간] > 백두대간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대간 구간별 들머리, 날머리 대중교통편!! (0) | 2007.06.17 |
---|---|
달아네의 1차 백두대간 종주 일정표 (0) | 2007.06.17 |
백두대간길...멧돼지를 만났을 때 대처 방법 (0) | 2007.06.17 |
....☞ [사례 4] 달아네...'멧돼지와 또 마주치다...' (0) | 2007.06.17 |
....☞ [사례 3] 달아네...'멧선생과 조우하다...' (0) | 2007.06.17 |